[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금속의 구조와 광택을 내는 이유
은 접시는 빛을 받으면 반짝반짝 흰색 광택을 낸다. 금도 빛을 받으면 금 특유의 황금빛이 감돌며 광택을 낸다. 구리는 약간 붉은 기운이 도는 광택을 낸다. 이러한 광택을 내는 이유는 금속이 특별한 방법으로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다.
금속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학교에 다닐 때 화학 시간에 배웠던 주기율표에는 118종의 원소가 있다. 그 원소들 가운데 96종의 원소가 금속으로 분류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 중 산소, 수소, 황, 질소, 그리고 헬륨, 아르곤, 네온과 같은 비활성 기체 원소, 염소, 플루오린과 같은 할로젠 원소 등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은 금속 원소인 셈이다.
금속 원자는 가장 바깥에 있는 전자껍질의 전자와 원자핵이 약하게 결합하여 전자를 방출하기 쉽다. 그래서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의 전자가 방출되어 자유 전자가 되고, 전자를 잃은 금속 원자는 양전기를 띤다. 금속 원자들은 양전기를 띠므로 반발력에 의해 서로 흩어져야 한다. 하지만 금속은 고체일 때 원자들이 규칙적인 배열로 강하게 결합하여 단단하고 잘 부서지지도 않는다. 그 이유는 금속 원자들의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이 서로 겹쳐 있고, 겹친 전자껍질을 음전기를 띤 자유 전자가 자유로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 자유 전자가 원자와 원자 사이를 이동하면서 양전기를 띤 금속 원자들 사이의 반발력을 없앤다. 결국, 모든 금속 원자들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전자들에 둘러싸여 있고, 이 자유 전자들은 양전기를 띤 금속 원자핵의 끌어당기는 힘을 받으면서 결합을 유지한다. 이런 결합을 금속 결합이라고 부른다.
금속의 자유 전자는 원자와 원자 사이를 이동하면서 양전기를 띤 금속 원자들 사이의 반발력을 없애 결합을 유지한다. ⓒ윤상석
금속의 광택은 자유 전자 때문이다
금속의 광택은 금속이 가진 독특한 성질 중 하나이다. 금속의 광택을 이해하려면 먼저 빛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빛은 전기를 띤 입자를 진동시키는 파동인 전자기파이다. 인간이 볼 수 있는 빛인 가시광선도 전자기파이고, 보이지 않는 빛인 전파, 적외선, X선, 감마선 등도 전자기파이다. 빛은 파동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어떤 물체에 빛이 도달하면, 그 물체는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이 에너지를 받는 주인공은 바로 전기를 띤 입자인 전자이다.
가시광선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표면의 음전기를 띤 자유 전자는 가시광선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같은 진동수로 진동한다. 그러면서 가시광선은 금속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사라진다. 동시에 자유 전자는 자기 자신의 진동으로 같은 진동수의 가시광선을 만들어 내놓는다. 그러면 금속 표면이 가시광선을 방출하므로 마치 빛이 반사된 것처럼 보인다.
결국, 우리가 보는 금속의 광택은 금속의 자유 전자가 만드는 가시광선이다. 금속은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매우 높다. 그래서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금속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어 거울로 사용해 왔다. 우리가 사용하는 유리 거울도 투명한 유리 거울 뒤에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발라서 만든다.
우리가 사용하는 유리 거울도 투명한 유리 거울 뒤에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발라서 만든다. ⓒ윤상석
그런데 금속의 자유 전자는 모든 빛을 흡수하여 다시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X선이나 감마선 등과 같은 빛의 진동수는 높아서 자유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속도의 한계를 넘는다. 이렇게 진동수가 높은 빛에는 금속 표면의 자유 전자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런 빛들은 그대로 금속 안으로 들어가 금속 원자 안쪽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에 흡수된다.
금속광택의 색이 다른 이유
금속마다 광택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 금은 짙은 노란색이 도는 광택을 내고, 은은 하얀색이 도는 광택을 내며, 구리는 붉은빛이 도는 광택을 낸다. 그 이유는 금속마다 자유 전자의 움직이는 최고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가시광선은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파장 범위에 있는 빛으로 가장 긴 파장의 붉은색부터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그리고 가장 짧은 파장의 보라색까지 있다. 우리가 흔히 무지개색을 말할 때 쓰는 빨, 주, 노, 초, 파, 남, 보는 파장이 긴 색에서 파장이 짧은 순서로 나열한 가시광선의 순서이다.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진동수가 높다.
금은 자신이 가진 자유 전자의 움직이는 최고 속도로는 초록색 이상의 진동수를 가진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다시 만들 수가 없다. 그래서 금 표면에 빛을 받으면, 초록색과 파란색, 남색, 보라색의 가시광선은 원자 안쪽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에 흡수되고, 금 표면의 자유 전자가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다시 만들어 방출한다.
그래서 금은 짙은 노란색 광택을 낸다. 반면에 은은 자유 전자의 움직이는 최고 속도가 금의 자유 전자보다 빨라 거의 모든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다시 만들어 방출한다. 그래서 은 표면에 빛을 받으면 흰색의 광택을 낸다. 가시광선 7가지 색의 빛이 모두 합쳐지면 흰색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구리는 자유 전자의 움직이는 최고 속도가 금의 자유 전자보다 느려 붉은색의 광택이 난다.
금 표면에 빛을 받으면, 초록색과 파란색, 남색, 보라색의 가시광선은 원자 안쪽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에 흡수되고, 금 표면의 자유 전자가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다시 만들어 방출한다. ⓒ윤상석
(1058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