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서 환자 폭증 원인으로 지목…치명률은 높아지지 않아
영국에서 유행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도 유입된 것으로 28일 확인되면서 이 바이러스의 실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모든 사실이 규명되지 않았으나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빠른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영국 현지에서는 최근의 코로나19 환자 폭증 원인으로 변이 바이러스가 지목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영국에서 확산하기 시작해 국내에도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지난 9월 영국 잉글랜드 남동부에서 처음 출현했다.
이후 영국 정부가 지난 14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에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한 변이 바이러스를 보고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당시 영국 정부는 코로나19 환자의 급격한 증가세가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단 ‘변종’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아예 종이 다른 바이러스가 아니라 기존에 유행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분화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도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D614G’ 등 중국 우한에서 확산한 초기 바이러스와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이미 전 세계에 퍼진 바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변종 바이러스라면 유전자의 특성까지 바뀌어야 하므로 아직 변종이라고 하긴 어렵고, 변이 수준”이라고 봤다.
영국에서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현재 확산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 대비 전파력이 40∼70% 크고, 확진자 1명이 몇 명에게 병을 전파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감염 재생산지수를 최대 0.4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 재생산 지수는 1을 초과하면 ‘유행 지속’, 1 미만이면 ‘발생 감소’를 의미하므로 0.4 높아질 경우 확산 속도가 크게 빨라질 수 있다.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치명률이 높다는 보고는 나오지 않았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변이할수록 전파 속도나 감염력은 높아지지만 치명률은 낮아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기존에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을 무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지만, 이 역시 근거가 없다는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변이 바이러스라고 하더라도 기존 바이러스와 단백질 구조 자체는 같아 백신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얼마만큼 효과를 낼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변이 바이러스의 치명률이 높지 않지만 감염력이 강하고 전파 속도가 빠른 점은 또 다른 대규모 유행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국내 3차 대유행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가운데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확진자가 폭증할 경우 의료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변이는 끊임없이 출현할 수밖에 없다”며 “방역 당국이 모니터링을 통해 대비하고 조기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현재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에 대비해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
(5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정부는 10월 누리호 발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
정부가 연구개발(R&D) 사업이 끝난 뒤에도 연구진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감을 제작하고 성과 추적조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중견연구·신진연구·생애첫연구·재도약연구 등에 2천647개 과제를 새로 선정, 3월부터 연구할 수 있게 3천657억원을 지원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주차 로봇'에 대한 실증이 시작된다.
스마트 교차로·사물인터넷 서비스망·공유와이파이 플랫폼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개발된 혁신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D·N·A 대중소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을 시작한다.
광주 자치구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이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