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FAC 동향리포트] 독일 시민 2/3 이상이 과학·연구에 대한 신뢰 나타내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동향]
Science Barometer* 2021 조사 결과, 과학과 연구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거나, 완전히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1%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 2020년 11월 조사(60%)와 비슷하고,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되기 전(19년 46%, 18년 54%, 17년 50%)보다는 높은 수치다.
* Science Barometer: 과학, 연구에 대한 독일 시민의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조사. 사람들이 과학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과학과 연구를 얼마나 신뢰하는지, 미래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는 무엇인지 등을 조사한다.
과학, 연구에 대한 독일 시민의 높은 신뢰는 정책 결정 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응답자 69%는 “과학적 지식에 근거해 정책 결정을 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정책 결정에 있어 과학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높다. 응답자 75%는 “과학자들이 ‘과학적 증거를 고려하지 않는 정책’을 막기 위해 공개적으로 발언해야 한다”고 답했다. 나아가 과학자들이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를 원하는 비율도 32%나 됐다.
독일 시민들은 팬데믹 상황에 대한 과학자 진술에도 높은 신뢰를 보였다(73%). 의사, 의료진의 진술 역시 많은 이들의 지지를 얻었다(79%). 반면 언론인, 정치인들의 진술 신뢰도는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34%).
Science Barometer 2021 프로젝트를 후원한 로버트 보쉬 재단(Robert Bosch Stiftung)은 이런 결과에 대해 “향후 정치인은 ‘어떤 과학자에게 조언을 구했는지, 어떤 과학적 기준을 활용하는지 등을 투명하게 전달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황 분석]
지난 5월, 글로벌 기업 3M은 과학에 대한 전 세계의 태도를 조사한 3M 과학 현황 지수(State of Science Index)를 발표했다. 설문에 참가한 응답자 대부분(91%)은 “과학을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과학은 향후 5년 동안 더 나은 삶을 만들 것”이라는 응답자도 89%에 달했다.
* (참고)SNS-View 제26호 동향리포트
미국 퓨리서치 센터는 2016년 이후 미국인들의 과학 신뢰도를 조사하고 있다. 그 결과, ‘과학자들이 공익적 차원에서 사회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 86%가 “신뢰한다”고 밝혔다.
* (참고) SNS-View 제27호 코팩포커스 ‘글로벌 시민 과학인식조사 현황’
[시사점]
팬데믹과 같은 글로벌 위기 상황에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사실 전달’은 특히 중요하다. 이제 코로나19, 기후변화 등 수많은 사회문제 해결에 과학적 지식이 필수가 됐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과학이 신뢰받는 사회’를 구축해 과학적 사실 전달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 과학자, 언론, 시민들이 파트너십을 구축해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야 한다. 백신, 방역 등 갈등이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 글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동향리포트’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109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