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옵티컬 아트(Optical Art)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 원근법, 입체감, 미묘한 색채 관계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눈에 착시(錯視) 현상을 일으키는 다양한 일루전을 표현하는 과학적 현대미술의 한 갈래이다. 옵티컬은 ‘시각적 착각’을 의미하며, 흔히 옵아트(Op Art)라고 줄여서 부른다.
옵아트라는 용어는 뉴욕 마사 잭슨 갤러리(Martha Jackson Gallery)에서 개최된 ‘The Show Julian Stanczak: Optical Paintings’ 전시회와,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회 ‘감응하는 눈(The Responsive Eye)’를 계기로 미국의 주간지 타임(Time)지에서 처음으로 쓰였다.
미술에 기하학적 원리와 수학적 계산을 도입하여, 3차원적 입체감과 마술적 착시를 표현한 작가로는 ‘손을 그리는 손(Drawing Hands)’, ‘상대성(Relativity)’, ‘도마뱀(Reptiles)’, ‘뫼비우스의 띠(Mobius Strip)’ 등을 그린 네덜란드 출신의 판화가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Maurits Cornelis Escher, 1898~1972)가 유명하다.
빅토르 바자렐리 Ⓒ Victor Vasarely
헝가리 페치(Pecs) 출신으로 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 1908~1997)는 현대 옵아트를 한층 더 발전시킨 대표적인 선구적 작가로서, 부다페스트에 있는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Eotvos Lorand University)에서 의학을 공부했다가, 다시 포돌리니 볼크만 아카데미(Podolini Volkmann Academy)와 뮤엘리 아카데미(Muhely Academy)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빅토르 바자렐리는 20세기 초반 순수 형태의 이미지 구성과 기하학적 추상을 추구했던 러시아 구성주의(Constructivism) 미술의 영향을 받았으며, 상업 디자인 영역을 벗어나 30대 초반인 194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생기 넘치는 색상과 도형으로 옵아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Stunning Hexa 5 Serigraph Ⓒ Victor Vasarely
또한 빅토르 바자렐리는 자신의 옵아트 작업이 평행선, 삼각형, 원형, 장방형(長方形) 등의 형태와 원색을 짜 맞추어 철저한 기하학주의 추상 회화를 그린 프랑스 화가 오귀스트 에르뱅(Auguste Herbin, 1882~1960)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오귀스트 에르뱅은 1931년 결성된 미술단체 ‘추상-창조(Abstraction-Creation)’ 협회의 창립을 주도하였고, 1949년에 ‘비구상과 비대상 미술(L’Art non-figuratif et non-objectif)’을 저술했으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의 광학(光學) 연구와 색채 이론을 광범위하게 이용한 작가이다.
Vega-Nor Ⓒ Victor Vasarely
옵아트의 가장 독창적인 예술가이자 ‘The Yellow Manifesto’를 저술한 이론가이며, 시네티즘(Cinetisme)의 창시자로 불리는 빅토르 바자렐리는 정교한 수학적 계산과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으로, 입체적인 수축과 팽창의 운동감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시네티즘은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거나 움직이지 않지만,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이 지각되는 작품을 지칭하며, 과학과 예술을 접목시킨 종합적인 성격의 동적(動的) 테크놀로지 미술이다. <관련동영상>
Keple Gestalt Ⓒ Victor Vasarely
이 밖의 빅토르 바자렐리의 주요 옵아트 작품으로는 ‘Zebra(1937)’, ‘Ezinor(1949)’, ‘Yapoura(1954)’, ‘Vega(1957)’, ‘Relief Metal(1960)’, ‘Supernovae(1961)’, ‘Naissance(1964)’, ‘Zoeld V(1967)’, ‘Torony-Nagy(1969)’, ‘Composition Carree Relief(1970)’, ‘Sonora Do(1973)’, ‘DVA-DVA(1986)’ 등이 있다.
빅토르 바자렐리는 “그의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모든 것을 잊고, 놀이를 하는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이에 몰두한 아이에게 시간은 정지된다. 아니, 그 다른 종류의 시간대에 살게 된다”라는 평을 받은 바 있으며, 1964년 구겐하임 상(Guggenheim Prize)과 1965년 상파울루 비엔날레(Sao Paulo Biennial)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빅토르 바자렐리의 한국 특별전은 1990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되었으며, 회화 작품 78점을 포함하여 115점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현재 그의 작품들은 부다페스트 바자렐리 미술관(Vasarely Museum Budapest)과 프랑스 바자렐리 재단(Fondation Vasarely) 등에 소장되어 있다.
(501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
2차 발사일이 잠정적으로 6월 15일로 잡혀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완벽 성공'에 재도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등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주에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누리호의 발사일과 시간을 확정한다. 기상 변수 등을 고려해 발사일 전후 약 1주가 예비발사 기간으로 함께 지정될 예정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14개의 무게를 쉽게 측정할 '입목중량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입목중량표는 나무의 키와 가슴높이의 굵기만 알면 누구나 쉽게 무게를 알 수 있도록 표로 제시한 것으로, 부피 단위인 재적표와 함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산림 경영기준표다.
양자암호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TF QKD'의 실험 검증에 한국 연구진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2일 한상욱 양자정보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작년 겨울 'TF(Twin-field) 양자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달 초 양자정보학 분야의 온라인 오픈액세스 저널인 'npj Quantum Information'에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석으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하는 '자성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슘은 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