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멕시코 출신의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 1967~)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일렉트로닉 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 작가로서,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콘코디아 대학교(Concordia University)에서 물리 화학을 전공하였다.
몬트리올 분자 인식 연구소(Molecular Tecognition Lab in Montreal)에서 근무하며 화학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1995년 개인전 ‘ARCO 95 – The Trace’를 기점으로 각종 전자 장치와 과학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Displaced Emperors Ⓒ Rafael Lozano-Hemmer
1997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Ars Electronica Festival)에서 발표한 그의 초기 작품 ‘추방된 황제(Displace Emperors)’는 벽면에 투사된 대형 미디어 파사드 영상과 관람객을 아키택트(architact)라는 인터페이스로 연결하고, 컴퓨팅(computing)을 통해 관객이 직접 작품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관람객이 동전을 넣으면 목테수마 버튼(Moctezuma button)을 누를 수 있으며, 오스트리아 비엔나 민속박물관(Museum fur Volkerkunde in Vienna)에 소장되어 있는 문화유산과 유물의 이미지들이 옮겨져 관람하게 된다. 목테수마는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중앙아메리카를 지배했던 아즈텍 제국(Imperio Azteca)의 황제이다.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이 작품으로 일본 미디어아트 페스티벌(Japan Media Arts Festival), 독일 바우하우스 어워드(International Bauhaus Award), 영국 BAFTA(The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등의 국제상을 수상하며 현대 미디어 아티스트로서의 명성을 쌓기 시작했다.
Zoom Pavilion Ⓒ Rafael Lozano-Hemmer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2015년 작품 ‘줌 파빌리온(Zoom Pavilion)’은 관람객의 얼굴과 동작을 감지하는 이동형 적외선 센서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수백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전시장 삼면 스크린에 보여주는 인터랙티브 설치미술 영상 작품으로 영국, 캐나다, 스위스, 멕시코, 일본, 한국 등에서 전시된 바 있다.
‘줌 파빌리온’은 폴란드 출신 미디어 아티스트 크지슈토프 보디츠코(Krzysztof Wodiczko)와의 컬래버레이션 작품으로, 라파엘 로자노헤머는 이 작품에 대하여 “기술은 인간을 자유롭게 만들고, 인간답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술이 예술이 되었을 때 확실히 다른 관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동영상>
Pulse Index Ⓒ Rafael Lozano-Hemmer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또 다른 작품 ‘Pulse Index’는 관객의 지문과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기록하는 생체 인식 설치미술로서, 220배의 디지털 현미경과 맥박계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관객의 신체 정보를 58인치 HD 모니터 속의 수십 개로 분할된 면으로 보여준다.
‘Pulse Index’는 진동하는 심장 박동에 맞춰 관객들의 지문이 계단식 사각형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며, 참가자 순서대로 면이 쌓이면서 작은 면들이 상단으로 올라간다. ‘Pulse Index’는 플라스마(plasma) 모니터 버전과 대형 벽면 스크린 프로젝션 버전이 있다.
Volumetric Solar Equation Ⓒ Rafael Lozano-Hemmer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2018년 설치미술 ‘Volumetric Solar Equation’은 2만 5580개의 LED 조명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작품으로,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Pierre de Fermat)의 방정식, 그리고 베네수엘라 아티스트 라파엘 소토(Jesus Rafael Soto)와 카를로스 크루스 디에스(Carlos Cruz Diez)의 기하학적 추상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식물의 엽서(葉序) 형태의 나선형으로 조명이 배열되었다.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이슈를 은유하고 있는 ‘Volumetric Solar Equation’은 우리나라 아모레퍼시픽 미술관과 캐나다 퀘벡 국립미술관(Musee national des beaux-arts du Quebec)의 공동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 작품의 라이팅은 나사(NASA)의 태양역학전망대(SDO)와 솔로-헬리오스피릭 태양 관측 위성(SOHO)에 포착된 이미지를 유동식 방정식을 통해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했다.
과학기술을 현대예술로 승화·발전시킨 라파엘 로자노헤머의 홈페이지에는 2000여 점에 이르는 고해상도 작품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각종 전시회 정보가 올려져 있다. <작가홈페이지>
(131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성인 환자 3명 가운데 1명은 심혈관질환 증상이나 징후가 없더라도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감압점착제에 온도 반응성을 부여해 고온에서 쉽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나라 성인의 중증 우울증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1일 나왔다.
환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양전자 단층 촬영(PET)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인공 세포 안에 유전질환 치료 물질을 담은 채 인체에 침투한 뒤 치료 물질을 인체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용 인공 바이러스 벡터(AVV)가 개발됐다. 미국 워싱턴DC 미국가톨릭대 베니갈라 라오 교수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표면을 지질(lipid)로 감싼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바이러스 벡터(T4-AAV)로 유전자 치료 물질을 인간 세포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는 자손을 빠르게 복제하고 조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물학적 기계라며 치료 물질을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인공 바이러스 벡터를 만들어 인체에 침투시키면 질병 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 치료 환자의 데이터세트(1997~2014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비만 진단 후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우울증, 니코틴 중독, 정신병증(psychosis), 불안장애, 식이장애(eating disorder),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등 광범위한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정상 일대 날씨 변동이 극심해지면서 에베레스트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라고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보도했다. 히말라야 등정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히말라야 데이터베이스'와 네팔 당국에 따르면 올해 봄철 등반 시즌에 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선 산악인 가운데 17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 변덕이 심해진 것이 사망자가 늘어난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