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핵심인재 10만명 양성"…올해 2600여억원 투입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분야 인재 양성에 2626억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과기정통부가 마련한 ‘AI·SW 핵심인재 10만명 양성계획’의 일환으로, 정부는 2025년까지 이 사업에 약 1조원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인재 양성을 위해 기존 혁신 교육 인프라를 추가 확대하고 새로운 인프라도 구축한다.
AI 대학원은 올해 2곳을 추가로 선정해 총 10개로 확대한다. SW 분야 핵심 원천기술 개발 우수연구실을 지원하는 ‘SW스타랩’도 6개 연구실을 추가해 총 42곳으로 늘린다. SW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SW 중심대학도 9개를 추가로 선정한다.
대학-기업-연구소 등의 협동 연구를 수행하는 ‘AI 교육·연구허브’도 새로 구축해 연구개발(R&D) 중심의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초·중등 학생들이 AI 기초소양을 키울 수 있도록 전국 500여 개 학교를 ‘AI 선도학교’로 지정하는 내용도 담겼다.
현재 대덕, 대구, 광주 3곳에 있는 SW 마이스터고등학교는 4곳으로 늘어난다. 올해 3월 부산에서 SW 마이스터고 1곳이 개교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늘어난 비대면 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AI 교육 플랫폼 구축도 시작한다.
올해는 플랫폼 구축을 위해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플랫폼을 운영할 방침이다.
(15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