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R&D) 혁신 바우처 지원 사업’에 올해 약 547억원을 투입한다고 6일 밝혔다.
중소벤처 및 중견기업은 이 사업을 통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 대학 등 연구기관으로부터 사업화에 필요한 ICT 기술을 받는다.
사업 지원 분야는 미래 자동차, 드론, 스마트 시티 등 8대 선도 기술과 5G, 인공지능(AI) 등 핵심 기술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2월 16일까지 1차 사업공고를 내 신청을 받고, 3월에 평가를 거쳐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하고 싶지만, 정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서는 기술 매칭을 시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7일 오후 온라인을 통해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 사업’ 설명회를 연다.
온라인 설명회는 네이버TV 또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공식 유튜브 채널(정통방통)에서 볼 수 있다.
(4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