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블록체인 사업에 올해 531억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올해부터는 사회복지, 투표, 신재생에너지, 우정고객관리, 기부 등 공공부문과 산업 등 5개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한다.
분산신원증명(DID) 집중사업과 특구연계사업 등을 활용해 블록체인에 관한 서비스도 발굴한다.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도 추진한다. 이 사업에 정부는 2021∼2025년 총 1천133억6천400여만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블록체인 고성능 합의기술과 스마트 계약 보안기술, 개인정보처리 및 신원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관리기술 등 4대 전략 분야를 지원한다.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지역에 희망하고자 하는 기업의 기술검증을 지원하고, 국내 블록체인 중소기업을 위해 컨설팅을 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11일 ‘2021년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열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or.kr),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kr) 등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6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