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여성과 노인 인구들이 겪는 골절의 주요 원인인 골다공증은 고령사회에서 반드시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다. 골절이 일어나게 되면 약 40%는 혼자 걸을 수 없게 되는데, 그중 2/3는 1년 후에도 그 같은 도움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 환자 중 24%는 12개월 이내 사망하며, 그 같은 사망 위험은 최소 5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골다공증은 이처럼 사망 위험으로 인해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돌봄 부담 등의 의료비용을 상승시켜 국가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는 질환이기도 하다.
옥시토신을 투여한 쥐들은 골밀도가 더 높은 뼈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퇴골 부위가 더 튼튼하고 구멍도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 Fernandes, F and Dornelles, RCM
그런데 최근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학 연구진이 골다공증을 조절하고 예방할 수 있는 특효약을 찾아냈다. 그것은 바로 사랑과 신뢰의 감정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어서 흔히 ‘사랑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옥시토신이다.
상파울루주립대학 내분비생리노화연구소의 리타 메네가티 도넬레스(Rita Menegati Dornelles) 박사팀은 생후 18개월 된 암컷 실험쥐 10마리에게 12시간 간격으로 옥시토신을 2회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쥐의 평균 수명은 3년인데, 18개월 된 암컷 실험쥐를 선택한 이유는 갱년기 여성과 최대한 비슷한 연령 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해서였다.
폐경기 이후 옥시토신 감소해
연구진은 옥시토신을 투여한 지 35일 후 고관절 골절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고관절 바로 아래의 대퇴골 상부에서 혈액 및 조직 샘플을 채취해 옥시토신을 전혀 투여하지 않은 18개월짜리 암컷 실험쥐 10마리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대조군의 실험쥐들과는 달리 옥시토신을 투여한 실험쥐들은 골밀도 감소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옥시토신이 노년기 쥐의 뼈 재형성 주기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진이 혈액 샘플을 분석한 결과, 옥시토신을 투여한 실험쥐들은 실제로 뼈의 재생과 관련된 생화화적 표지와 뼈의 형성 및 무기질화를 돕는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옥시토신을 투여한 쥐들은 골밀도가 더 높은 뼈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퇴골 부위가 더 튼튼하고 구멍도 적었다고 밝혔다.
도넬레스 박사는 “골다공증은 일반적으로 옥시토신의 혈중 수치가 낮은 경향이 있는 폐경기 후의 여성들 사이에서 더 빈번하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발표됐다.
옥시토신은 아이를 낳을 때 산모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자궁수축 호르몬이다. 여성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이 호르몬은 사춘기부터 폐경기까지 가장 많이 분비된다. 도넬레스 박사는 “폐경기 이후 옥시토신의 분비가 뚜렷하게 감소되는 현상은 골밀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실험쥐들도 노화가 진행될수록 혈중 옥시토신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노년기 근육 감소증에도 효과 있어
도넬레스 박사팀은 지난 10년 동안 뼈 신진대사와 옥시토신 간의 관계를 연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앞으로 옥시토신이 골다공증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안전성 및 효과성을 평가해 적절한 복용량을 추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년의 건강에 있어서 뼈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근육이다. 그런데 옥시토신은 골다공증뿐만 아니라 노화 연관 근육감소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캘리포니아대학 연구진이 고령의 실험쥐들에게 4일간 옥시토신을 투여한 후 근육에 손상을 유발한 다음 위약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옥시토신을 투여한 실험쥐들의 경우 젊은 실험쥐의 80% 수준으로 근육이 회복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옥시토신의 유일한 생성 방법은 포옹이나 부부관계 등의 스킨십이다. ⓒ 게티이미지뱅크
옥시토신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고 뇌하수체에서 분비된다. 과학자들은 20세기 초에 이 호르몬이 주로 출산 및 모유 수유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뼈세포처럼 다른 많은 세포들도 옥시토신을 분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비타민D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타민D는 햇볕을 쬘 때 피부에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옥시토신 역시 음식물 섭취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 호르몬의 유일한 생성 방법은 포옹이나 부부관계 등의 스킨십이다. 노년 건강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호르몬을 만드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 바로 사랑이었던 셈이다.
(729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