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치호는 약 4000만 년 전에서 1만 년 사이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등지에 살았던 거대한 고양잇과 동물이다.
검치호랑이라고도 하는데 약 20cm에 달할 정도로 긴 송곳니가 구부러진 칼처럼 생겼다고 해서 날이 휘어진 긴 검을 의미하는 세이버(saber)란 말을 사용, ‘Saber-toothed tiger(劍齒虎)’란 이름이 주어졌다.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고양잇과의 스밀로돈(Smilodon)이다. 몸집이 호랑이 정도로 대부분 남아메리카에서 살고 있었는데 강한 목의 힘과 몸무게를 이용, 송곳니로 먹이를 물어 죽인 것으로 여겨진다.
치아 분석으로 멸종 원인 밝혀내
8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그동안 과학자들은 검치호가 들판과 같은 초원에 살면서 말이나 들소같은 초식 동물들을 먹고 살았다고 여겨왔다.
이는 당시 초원에 살던 코요테, 회색이리 등 갯과 동물들과 먹이 경쟁을 하면서 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미국 LA 인근 라브레아 타르 연못(Rancho La Brea Tar Pits)에서 발견된 화석의 치아 분석 결과 이전의 연구가 오류임이 드러났다. 초원에 살았던 것이 아니라 숲속에 살면서 작은 동물들을 먹고 살았다는 것.
이는 이전의 주장을 뒤집는 것이다. 그동안 검치호 멸종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검치호가 초원에서 들소와 같은 큰 초식동물을 사냥하고 있던 갯과 동물들과의 경쟁에서 뒤져 멸종했다고 주장해왔다.
논문은 현대 생물학 학술지인 ‘커렌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5일 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Causes and Consequences of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as Revealed from Rancho La Brea Mammals’이다.
연구에는 밴더빌트 대학, 뉴욕주립 박물관(New York State Museum), LA 라 브리어 타르 핏츠 뮤지엄(La Brea Tar Pits & Museum)이 공동 참여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LA 인근 랜쵸 라 브레아(Rancho La Brea) 지역에 있는 타르 연못에서 5만년 이전에 살았던 검치호, 아메리카 사자(American Lion), 쿠거(cougars), 코요테(coyotes), 캐니드(Canids), 그레이 울프(grey wolves) 등의 화석을 발굴해왔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발굴팀이 가장 관심을 기울인 것은 홍적세 말기 많은 맹수들이 멸종하게 된 원인이다.
홍적세란 약 170만~1만 년 전까지의 기간으로 매머드 같은 코끼리류와 그 밖에 대포유류가 많이 살았던 시대다. 또 빙하를 배경으로 원인(原人) 및 진정 인류가 나타나 활동을 시작한 시기다.
그러나 홍적세 말기인 13만 년 전부터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후 홀로세(Holocene)가 시작되는 1만 년 전까지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하게 되는데 과학자들은 이를 ‘홍적세 소멸(Pleistocene extinction)’이라 지칭하고 있다.
코요테는 숲속으로 이동해 생존
그동안 과학자들은 홍적세 말기 어떤 이유로 인해 거대하고 사나운 동물들이 대량 멸종했느냐를 놓고 논란을 벌여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특히 검치호가 멸종한 것이 다른 맹수류와의 경쟁이 아니라 사람 때문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치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검치호와 이리의 조상인 캐니드 같은 맹수류가 숲속에서 작은 동물들을 먹고살았으며, 코요테와 회색늑대 같은 갯과 동물들은 초원에서 초식동물들을 먹고살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은 또 검치호와 같이 숲속에 살고 있었던 큰 맹수들이 멸종한 이유가 환경 변화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기온이 높아지면서 힘이 강해진 인류가 초원이나 숲으로 진출하게 되고 검치호와 같은 맹수들은 서식지를 잃으면서 결국 멸종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10여 년간 라브레아 타르 연못에서 발굴된 동물들의 치아 연구를 해온 밴더빌트 대학의 라리사 데산티스(Larisa DeSantis) 교수는 “연구를 위해 치과의의 도움을 받아 치아 화석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초정밀 현미경을 통해 밝혀진 치아마다 다른 조직과 패턴 분석 결과를 통해 이들 맹수들이 어떤 식으로 어떤 먹이를 먹고살았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검치호와 캐니드 치아의 동위원소는 일치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검치호가 갯과 동물과의 경쟁에서 소멸했다는 주장을 뒤집는 것이다. 그동안 일부 과학자들은 특히 검치호가 캐니드, 쿠거, 코요테 등 다른 동물들과 함께 치열하게 경합하다 멸종했다고 주장해왔다.
데산티스 교수는 “검치호와 캐니드가 기온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초원에서 먹잇감이 사라지고, 결국 멸종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초원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검치호, 캐니드와 같은 동물들은 다 멸종했지만 초원에서 초식동물들을 사냥하며 살았던 코요테, 회색늑대와 같은 동물들은 다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특히 코요테의 경우 치아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성분을 분석한 결과 처음에는 시체를 먹고살다고 숲속으로 거주지를 이전해 그곳에서 작은 동물들을 사냥하고 살면서 멸종동물 군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데산티스 교수는 “지금까지 살아있는 코요테와 같은 동물들은 환경 변화에 따라 먹잇감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동물들”이라고 말했다.
(1397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