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과학자들은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신종 바이러스가 어떻게 전염되고 있는지 추적해왔다.
그리고 환자 등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지난해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 하수(오수) 샘플에서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흔적을 발견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리고 지금 많은 과학자들이 바이러스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는 밍크에 몰두하고 있는 중이다. 네덜란드와 스페인 농장에서 사육하고 있는 밍크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바이러스 감염 경로를 추적하고 있는 중이다.
네덜란드, 스페인 등 밍크 농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 사이에 동물사람 간의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Wikipedia
사람‧밍크에 감염된 신종 바이러스 유사해
4일 타임지에 따르면 농장에서 사육 중인 밍크에 바이러스 감염 사실이 확인된 것은 지난 4월이다.
네덜란드 남부 농장 2곳에서 사육 중인 밍크 중 일부가 감염됐으며, 함께 일하던 인부 3명도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인근 밍크 농장에도 감염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네덜란드 방역 당국이 지금까지 살처분한 밍크의 수가 110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세계 최대 밍크 생산국인 네덜란드가 위기를 맞고 있는 중이다.
스페인도 네덜란드와 유사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방역 당국에서는 지금까지 9만 2000 마리의 밍크를 살처분 했는데 사육 중인 밍크의 90%에 달하는 수치다. 한 밍크 사육장에서는 사육 중인 밍크 가운데 87%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장에서 일하던 인부 중 확진 판장을 받은 경우도 14명에 달한다. 지역 방역 책임자인 요아퀸 올로나(Joaquín Olona) 씨는 지난 5월 “농장주가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농장 문을 닫은 후에도 2명이 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밍크로부터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됐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이 네덜란드와 스페인 농장에 주목하는 것은 밍크와 사람 간의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했을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교의 바이러스학자인 빔 판데르 포엘(Wim van der Poel) 교수는 “그동안 밍크와 확진 판정을 받은 인부에게서 바이러스를 채취해 비교분석을 실시해왔다.”고 말했다.
“사람동물 감염 확인될 경우 방역대책 시급”
포엘 교수는 “그 결과 밍크의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의 것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아우럴 포엘 교수는 “사람에게서 밍크로 전파된 바이러스가 또다시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러나 “아직까지 최종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최초 발병 지역은 중국이다. 많은 과학자들은 지난 2019년 말 동물 (박쥐로 추정) 로부터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돼 지금의 팬데믹 사태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후 사람과 동물 간의 감염 경로를 계속 추적해왔다.
그리고 사람으로부터 고양이, 호랑이, 개 등 다른 동물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동물들로부터 사람에게 또다시 신종 바이러스(SARS-CoV-2)가 전파됐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밍크 농장에서 대량 감염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중이다. 사람과 동물 간의 바이러스를 전파하고 있는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뉴욕 소재 캐리생태연구소의 리처드 오스펠트(Richard Ostfeld) 박사는 “밍크에게서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됐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첫 번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동물과 사람 간의 감염 가능성은 방역을 관리하는 세계 주요 기관들의 핵심적인 관심사였다.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를 비롯한 다수의 연구소, 대학 등에서도 같은 주제를 놓고 연구를 지속해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신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을 통해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는 있으나 극히 드물게 발생하고 있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견해를 표명한 바 있다.
WHO의 마이라 판 케르코베(Maria Van Kerkhove) 박사는 특히 이번 밍크 농장 사태와 관련,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을 통해서 밍크에, 또는 밍크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모두 공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번 밍크 농장 사례는 어떤 동물이 감염에 취약하며, 또한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연구 결과에 따라 방역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273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