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과학자들은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신종 바이러스가 어떻게 전염되고 있는지 추적해왔다.
그리고 환자 등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지난해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 하수(오수) 샘플에서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흔적을 발견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리고 지금 많은 과학자들이 바이러스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는 밍크에 몰두하고 있는 중이다. 네덜란드와 스페인 농장에서 사육하고 있는 밍크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바이러스 감염 경로를 추적하고 있는 중이다.
네덜란드, 스페인 등 밍크 농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 사이에 동물사람 간의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Wikipedia
사람‧밍크에 감염된 신종 바이러스 유사해
4일 타임지에 따르면 농장에서 사육 중인 밍크에 바이러스 감염 사실이 확인된 것은 지난 4월이다.
네덜란드 남부 농장 2곳에서 사육 중인 밍크 중 일부가 감염됐으며, 함께 일하던 인부 3명도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인근 밍크 농장에도 감염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네덜란드 방역 당국이 지금까지 살처분한 밍크의 수가 110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세계 최대 밍크 생산국인 네덜란드가 위기를 맞고 있는 중이다.
스페인도 네덜란드와 유사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방역 당국에서는 지금까지 9만 2000 마리의 밍크를 살처분 했는데 사육 중인 밍크의 90%에 달하는 수치다. 한 밍크 사육장에서는 사육 중인 밍크 가운데 87%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장에서 일하던 인부 중 확진 판장을 받은 경우도 14명에 달한다. 지역 방역 책임자인 요아퀸 올로나(Joaquín Olona) 씨는 지난 5월 “농장주가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농장 문을 닫은 후에도 2명이 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밍크로부터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됐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이 네덜란드와 스페인 농장에 주목하는 것은 밍크와 사람 간의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했을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교의 바이러스학자인 빔 판데르 포엘(Wim van der Poel) 교수는 “그동안 밍크와 확진 판정을 받은 인부에게서 바이러스를 채취해 비교분석을 실시해왔다.”고 말했다.
“사람동물 감염 확인될 경우 방역대책 시급”
포엘 교수는 “그 결과 밍크의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의 것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아우럴 포엘 교수는 “사람에게서 밍크로 전파된 바이러스가 또다시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러나 “아직까지 최종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최초 발병 지역은 중국이다. 많은 과학자들은 지난 2019년 말 동물 (박쥐로 추정) 로부터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돼 지금의 팬데믹 사태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후 사람과 동물 간의 감염 경로를 계속 추적해왔다.
그리고 사람으로부터 고양이, 호랑이, 개 등 다른 동물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동물들로부터 사람에게 또다시 신종 바이러스(SARS-CoV-2)가 전파됐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밍크 농장에서 대량 감염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중이다. 사람과 동물 간의 바이러스를 전파하고 있는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뉴욕 소재 캐리생태연구소의 리처드 오스펠트(Richard Ostfeld) 박사는 “밍크에게서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됐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신종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첫 번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동물과 사람 간의 감염 가능성은 방역을 관리하는 세계 주요 기관들의 핵심적인 관심사였다.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를 비롯한 다수의 연구소, 대학 등에서도 같은 주제를 놓고 연구를 지속해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신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을 통해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는 있으나 극히 드물게 발생하고 있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견해를 표명한 바 있다.
WHO의 마이라 판 케르코베(Maria Van Kerkhove) 박사는 특히 이번 밍크 농장 사태와 관련, “신종 바이러스가 사람을 통해서 밍크에, 또는 밍크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모두 공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번 밍크 농장 사례는 어떤 동물이 감염에 취약하며, 또한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연구 결과에 따라 방역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268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변·혈액 생체시료에는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바이오마커(생체 지표)가 포함돼 있어 이를 분석하면 질병 여부를 알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질병과 관련이 있는 바이오마커를 분리·정제해야 하나 현재는 대형 의료시설이나 실험실에서 샘플을 분석해야 해 시간·비용이 많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