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계가 어수선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많은 계획이 취소 또는 잠정 연기되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연구비는 이월해도 된다, 연구계획을 변경해도 된다, 연구개발 인력의 구조 조정을 방지하겠다 등 연구 현장에서 요청하기 전에 애로점을 먼저 진단하고 선제적으로 해결했다. 현장에선 낯선 경험이었다. “국경 폐쇄로 연구 기자재 수입이 안 되고 국제 협력·공동연구도 미뤄지고, 심지어 시약 조달도 안 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1차관이 발 빠르게 현장과 소통한 결과다.
2020.06.22 과학과기술 과학문화홍보팀김명자 (사)서울국제포럼 회장이 조용하지만 단호하게 말문을 열었다. 사이언스타임즈가 만난 김 회장은 최근 출판한 ‘팬데믹과 문명’을 통해 코비드-19로 인한 세계적 패닉 현상을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과학기술 문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환경부 장관, 국회의원(국방위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 굵직한 자리를 섭렵한 커리어를 자랑하는 김 회장은 한국 과학기술계의 큰 어른이자 지성으로 평가받는다. 1980년대부터 민간과 공공부문 300여 위원회에 참여하면서 한국의 과학기술, 교육, 환경, 경제 정책을 이끄는 데 이바지했다.
2020.06.17 김청한 객원기자“인생에서 25년은 배움을, 25년은 사회활동을 해 왔으니 나머지 25년은 온전히 제 인생에 집중하고 싶습니다. 단지 혼자만의 시간을 갖기보다는, 글쓰기와 강연 등을 통해 우리 사회를 조금이나마 바꿔보고 싶어요.” 김병민 한림대학교 나노융합스쿨 겸임교수는 다양한 이력의 소유자다. 어렸을 적 미술을 좋아해 그림을 한창 익히다가 돌연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며 PC통신 초기 개발자가 됐다. 이후 화학으로 진로를 바꿔 현재는 나노물질 연구를 위한 분광학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20.06.12 김청한 객원기자한국화학연구원은 암모니아에서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인 수소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하이동도(mobility)를 개선한 고성능 2차원 유기반도체 소재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가벼우면서도 유연함을 갖춘 'CIGS 박막 태양광 모듈' 국산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내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국내 접종 시작을 앞두고 정부가 다국적제약사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본격적인 허가심사에 들어갔다.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두 번째로 이뤄진 정식 품목허가 신청에 따라서다.
충북 충주에 국내 첫 음식물폐기물을 이용한 수소충전소가 들어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최기영 장관 주재로 제3회 과학기술미래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온라인 수산생물 질병정보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양식 현장 최신 질병 사진과 진료 사례를 정리한 수산생물 현장 진료 사례집을 발간, 배부했다고 25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