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처럼 전 세계 인재를 빨아들이는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 정부는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을까? 미국 백악관은 과학기술정책실(OSTP)이 주도하여 JCORE(Joint Committee on Research Environment)를 발족, 작년 5월부터 국가 연구자산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을 추진 중이다. 에너지부와 국립과학재단은 같은 해 6월부터 소속 직원과 파견 근무자에 대해 해외 정부 인재 유치 프로그램 참여 금지 명령을 내렸다.
2020.10.27 박지은 KIST 미래전략팀 연구원문재인 정부는 지난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에 대응해 경제침체를 극복하고 구조적으로 경제를 대전환 하겠다는 목적이다.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자해서 일자리 190만 개를 만들겠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대통령은 기조연설 가운데 ‘우리 정부를 넘어 다음 정부로 이어지고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라는 멘트를 남겼다. 한국판 뉴딜의 양축은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그리고 양 뉴딜의 융복합이 핵심이다. 결과로는 D.N.A(Data, Network, AI) 기반의 똑똑한 나라, 사람-환경-성장이 조화되는 그린선도 국가, 국가와 사회로부터 더 보호받고 더 따뜻한 나라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계획에 제시된 목표를 위한 추진체계만 보일 뿐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앞으로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다. 더 늦기 전에 포스트 코비드-19를 대비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 방향도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지 않을까?
2020.08.27 차두원 한국인사이트연구소 전략연구실장한국천문연구원이 포함된 '사건 지평선 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은 15일 거대 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질량이 태양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강력한 제트를 분출하는 관측 결과를 공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읍·면·동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15일 발표했다.
AI 음악 생성 기술 콘텐츠 제작사 '엔터아츠'의 음반 레이블 'A.I.M'은 가수 하연의 디지털 싱글 'idkwtd'(I don't know what to do)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글로벌 NFT 마켓인 '민터블'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김대식 특훈교수 연구팀이 0㎚(나노미터·10억분의 1m)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제로 갭·zero gap) 구조의 광학 소자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다양한 미래 체험이 가능한 '4차산업 체험문화 공간 놀이터'가 15일 전북 정읍학생복지회관 3층에 둥지를 틀었다.
국내 연구진이 냉각소자가 필요한 기존 열영상센서와 달리 냉각소자 없이도 100℃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열영상센서를 개발, 스마트폰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停車) 중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표준화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