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 관한 SF영화처럼 재미있고 경이로운 천문학 강연이 시작됐다. 카오스재단이 ‘우주’를 주제로 마련한 봄 강연 ‘Space opera(스페이스 오페라)’가 바로 그것이다. 스페이스 오페라는 우주 공간에서 벌어지는 모험담을 그린 공상과학 소설이나 영화와 같은 장르물을 뜻한다. 3일 시작된 첫 강연은 ‘우주 문 열기’로, ‘보이는 것만큼 안다’가 주제다. 여기선 흔히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하는데, 우주에서는 보이는 것만큼 알 수 있다는 천문 관측의 발달과 우주 인식 변화에 대해 다뤘다.
2021.03.04 김순강 객원기자지난 26일 ‘COVID-19 4차 대유행의 전조인가?’를 주제로 열린 과총·의학한림원·과학기술한림원 공동포럼에서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4차 대유행 가능성에 대해 작은 불씨 하나로도 큰불이 일어날 수 있는 매우 위기적인 상황으로 진단했다. 특히 이제 시작된 백신 접종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생존전략을 바꿔야 하는 절체절명의 선택압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백신이라는 선택압으로 인해 변이주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변이주는 전파력이 더 큰 쪽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2021.03.02 김순강 객원기자“동물을 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인류의 가장 파괴적인 테크놀로지다.” 2021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주제 강의 연사로 선 패트릭 브라운(Patrick O. Brown)의 말이다. 강의에서 그는 동물을 먹는 우리의 식습관이 우리가 지금 당면한 ‘기후 변화’와 ‘생물다양성 붕괴’라는 엄중한 문제에서 얼마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가를 지적하고, 이것을 바꾸기만 한다면 향후 십여 년간 얼마나 급격한 변화를 우리가 이뤄낼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그리고 그렇게 하면 우리가 기후 변화를 ‘정말로’ 멈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1.02.23 한소정 객원기자지능형 교통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각종 단말기로 보내 차량 흐름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올해에는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 공급업체로 네이버 클라우드를 선정해 연중 상시 지원 체제로 추진한다.
원안위는 한국소비자원과 협력해 올해 말까지 음이온 효과 부당 광고 제품을 합동 점검하기로 했다.
서울대 안경원 교수 연구팀이 양자 중첩 상태의 원자들이 상호 작용해 빛의 흡수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초흡수' 현상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2021년 건전한 사이버 윤리문화 조성사업 계획 발표
고령자·장애인·농어업인·다문화가정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최소 20% 이상 개설하고 디지털 기초·생활 교육의 비중도 70%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울산시는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울주 강소특구)가 1·2호 연구소기업을 배출했다고 8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