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여건에서 지난 3일과 4일 온라인 생중계로 ‘2020 디지털 문화유산 국제 심포지엄’이 열려 세계 문화재 관계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한국과학기술원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세계 문화유산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확인하고 토론하는 자리였다. 디지털 기록화는 문화재 원본에 직접 손대지 않고, 원형의 형상을 정밀하게 기록해 맨눈으로 확인하지 못했던 정밀한 부분을 인식하게 해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문화유적과 유산 발굴과 기록은 국외에서 더욱 활발하다.
2020.12.07 정승환 객원기자유성과학축제(Science&Fun)가 3일부터 6일까지 4일 동안 열린다. 대전 유성구가 주최한 유성과학축제는 ‘유성에서 즐기는 맛있는 과학!’을 슬로건으로 대면 행사와 비대면 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유성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2020년 지역 과학기술 문화 활성화 지원 사업’을 통해 전국 지자체 가운데 올해의 과학문화도시로 선정됐다. 유성과학축제는 유성구가 과학문화도시로 선정되었음을 대·내외적으로 알리고, 과학을 통해 유성구 주민들에게 즐거움을 전하고자 개최되었다.
2020.12.04 정현섭 객원기자급속한 도시화로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면서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거기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과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자연재해까지 더해져 더욱 심각한 도시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이 분야에 세계적인 석학인 콘스탄틴 콘토코스타(Constantine Kontokosta) 뉴욕대 교수가 3일 2020 서울빅데이터포럼에서 ‘도시 위기 시대의 빅데이터와 도시혁신’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고화질 대용량의 데이터와 다학제 간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론을 통해서 도시의 역동성과 복잡성을 이해하고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공중보건 문제,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추구하는 것이 자신의 연구 목표라고 소개했다.
2020.12.04 김순강 객원기자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미디어 산업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플랫폼 이용이 증가했고, 미디어에 유통과 소비까지 더해져 디지털 플랫폼의 커머스 기능까지 강화됐다. 바야흐로 미디어 대전환 시대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소비자와 디지털 플랫폼의 교차로에서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미디어 대전환 시대 뉴미디어의 선택’을 주제로 2020 경기 뉴미디어 콘퍼런스가 26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2020.11.27 김순강 객원기자뇌에 특정 장소에 대한 장기기억이 형성될 때 지형지물의 많고 적음 같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기억이 형성되는 방식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관찰할 수 있는 액상 전자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마약류·총기 등 사회 안전에 해를 끼치는 물품의 밀반입을 막기 위한 기술개발에 정부 부처가 힘을 모은다.
정부가 신소재를 사용한 무선 부품인 'X-밴드 질화갈륨(GaN) 반도체 집적회로(MMIC)'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개인의 유전자에 따라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북도, 새만금개발청, 군산시는 19일 전북도청에서 5개 기업과 '새만금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방세 감면, 보조금 우대 등의 혜택을 주는 '에너지특화기업' 지정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