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을 고전물리학과 현대물리학으로 구분 지은 것은 20세기 이후 등장한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이다. 하지만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은 처음 등장했을 때 수학적으로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서로 대립했다.
그런데 모순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두 이론을 통합해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개척한 이가 있다. 아인슈타인과 필적할 만한 천재로 알려진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Paul A. M. Dirac)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폴 디랙은 1902년 8월 8일 영국 브리스톨에서 태어났다. 스위스에서 영국으로 건너와 그곳에서 프랑스어 선생을 하고 있던 부친 찰스 디랙은 아이들에게 매우 엄격하여 식탁에서는 오직 프랑스어로 말하기를 강요했다.
아인슈타인 이후 가장 큰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지만, 수줍어하는 성향 탓에 일반 대중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폴 디랙. 그는 양자역학 연구의 업적으로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JOC/EFR/Wikimedia Commons
삼 남매 중 둘째였던 폴 디랙은 미숙한 프랑스어 실력 때문에 가정에서 말을 별로 하지 않았는데, 이후 그는 성장해서도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만큼 사교성이 부족했다.
워낙 말이 없는 그를 보고 과학자 동료들은 ‘디랙 단위’란 걸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 여기서 1디랙은 한 시간에 한 마디를 하는 거였다. 또한 그는 ‘모든 여성을 두려워하는 천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그럼에도 타고난 그의 수학적 재능만은 감출 수 없었다. 어릴 적부터 수학에 뛰어난 소질을 보인 그는 ‘머천드 벤처러’라는 중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브리스톨대학에 진학해 전기공학을 전공했다.
디랙의 바다에서 추론한 최초의 반물질 ‘양전자’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장학금을 받아 대학원 공부를 시작한 폴 디랙은 R. H. 파울러의 지도 아래 양자역학에 대한 논문을 써서 1926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로 그해 그는 다시 코펜하겐으로 가서 닐스 보어의 지도로 양자론을 연구해 1932년에는 케임브리지대학 교수가 되었다.
폴 디랙은 처음부터 상대성이론의 가정을 충족하는 파동역학을 정립하고자 했다. 1928년에는 초기의 파동방정식을 더 간단한 두 개의 방정식으로 나누었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디랙 방정식’인데, 첫 번째 방정식은 상대론과 잘 일치했다.
하지만 두 번째 방정식에는 약간 문제가 있었다. 질량과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음수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존재해야 그 식의 성립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디랙 방정식이 물리학이 아니라 수학일 뿐이라며 무시했다.
그러나 디랙은 자신의 방정식이 수학적으로 너무 아름다워서 결코 틀릴 수 없다고 믿었다. 그는 음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가득 찬 것을 우주의 진공 상태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 같은 진공을 ‘디랙의 바다’라고 한다.
그런데 텅 비어 있는 디랙의 바다에 빛을 쪼이면 음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 중에서 하나가 그것을 흡수해 구멍이 하나 생기고, 양의 에너지를 지닌 전자가 생기게 된다. 이것이 바로 구멍 이론으로서,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의 존재를 예견한 이론이다.
보통의 물질을 구성하는 소립자의 반입자, 즉 반물질이 존재한다는 디랙의 이론에 학계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하지만 1932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대학원생 칼 앤더슨은 우주선(cosmic ray)이 어떤 입자로 이뤄져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하던 중 질량이 전자와 같으면서도 양전기를 띤 입자를 발견했다. 폴 디랙이 예측한 양전자의 실체를 밝혀낸 것이다.
노벨상 수상을 달가워하지 않았던 천재
실험적으로도 확인된 디랙 방정식은 양자역학의 기본 방정식인 슈뢰딩거 방정식의 한계를 해결해 버렸다. 슈뢰딩거 방정식은 입자가 빛의 속도에 비해 천천히 움직일 때만 적용할 수 있었는데, 디랙이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개척함에 따라 빛의 속도에 근접할 만큼 빠르게 움직이는 입자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폴 디랙은 슈뢰딩거와 함께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이때 폴 디랙의 나이는 31세였다. 하지만 그는 노벨상 수상을 별로 달가워하지 않았다. 유명해지는 게 싫어서 처음엔 노벨상을 거부하려고 했던 것.
그런데 상을 거부하면 언론들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거라는 러더퍼드의 충고를 듣고 결국 상을 받았다. 아인슈타인 이후 가장 큰 업적을 남긴 폴 디랙이 일반인에게는 덜 알려진 과학자로 남아 있는 것은 어쩌면 그의 이 같은 성향 때문인지도 모른다.
전자의 반입자뿐만 아니라 모든 기본입자, 즉 쿼크, 중성미자, 뮤온, 타우온 등에도 각각의 반입자가 존재한다. 빛처럼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는 자기 자신이 반입자가 되기도 한다.
반물질을 처음으로 생각해내 반물질의 아버지로 불리는 폴 디랙은 1968년에 미국으로 이주해 플로리다주립대학의 명예교수가 되었다. 그는 디랙 방정식의 발표 이후 전자기장의 양자론 완성에 노력해 다시간이론으로 장의 이론 형성에 크게 공헌했다. 말년에도 왕성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던 폴 디랙은 1984년 10월 20일에 세상을 떠났다.
(728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