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 게임용 카드는 모두 52장이다. 이 카드를 낮은 숫자에서 숫자순으로 배열한다고 하자. 이때 아랍인이나 이스라엘 사람이 아니라면 대부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카드를 배치해나갈 것이다.
아랍인이나 이스라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아랍어와 히브리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내려간다. 반면 유럽 등 다른 지역 언어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다.
사람들에게 이런 습성이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습성이 태어나면서부터 인간 두뇌에 갖춰져 있는지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간에 이론이 있어왔다. 그런데 최근 이 논란 에 해답을 줄 수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태어난 후 45시간이 안 된 아기들이 수적 인식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수를 배열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물론 부모들을 크게 놀라게 하고 있다. ⓒbabycenter.com
숫자의 많고 적음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알어
7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 데카르트 대학의 심리학자 마리아 돌로레스(Maria Dolores) 교수 연구팀은 파리지앵 병원에서 출생한 생후 45시간이 안 된 신생아 80명을 대상으로 부모들 협력 하에 테스트를 진행했다.
아기들의 마음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련의 시청각 심리적 테스트 장치를 만들었다. 먼저 청각 테스트를 실시했다. 신생아들에게 바(ba), 타(ta)와 같은 반복적인 효과음을 들려주었다.
신생아들에게 반복적인 효과음을 각각 여섯 번과 열여덟 번 연속해 들려주었다. 그리고 아기들이 이 반복적인 효과음의 음절의 많고 적음을 어떻게 느끼는지 파악하려고 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시각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짧고 작은 직사각형과 길고 큰 직사각형 형상이 들어 있는 스크린을 만든 후 여섯 번과 열여덟 번의 반복적인 효과음을 연속해서 들은 아기들이 이 형상들을 어떤 식으로 쳐다보는지 부모들과 함께 관찰을 시도했다.
연구팀은 아기들이 오른쪽의 길고 커다란 직사각형을 오랫동안 쳐다볼 경우 아기들이 들은 반복 효과음의 음절이 오랫동안 반복됐다(18번)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반면 왼쪽에 있는 작은 직사각형을 쳐다볼 경우 정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최종 관찰 내용은 이런 것이다. 여섯 번에 이어 열여덟 번의 반복적인 음절 효과음을 들은 아기들은 스크린 위 왼쪽, 오른쪽에 배치돼 있는 직사각형을 번갈아 쳐다보았다. 이때 더 길고 커다란 오른쪽을 쳐다본 시간이 왼쪽보다 2매나 길었다.
연구팀은 80명의 신생아들을 대상 반복으로 반복 효과음 음절을 변화시켜가면서 차례차례 개별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음절 내용이 바뀌더라도 아기들의 반응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짧고 작은 직사각형을 쳐다본 후 오른쪽 길고 큰 직사각형을 쳐다보았다.
숫자 인식한 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개
연구팀은 먼저 실험에서 여섯 번과 열여덟 번의 반복 효과음을 들려준 것과는 반대로 순서를 바꾸어 열여덟 번과 여섯 번의 반복 효과음을 들려준 후 이전과 같은 내용의 테스트를 반복해 진행했다. 이때도 결과는 동일했다.
여섯 번의 반복적인 효과음을 길게 늘려가는 식으로 해보았지만 아기들의 반응은 이전과 똑같았다. 아기들은 왼쪽의 짧고 작은 직사각형을 쳐다본 후 오른쪽 길고 큰 직사각형을 쳐다보았으며, 큰 직사각형을 쳐다본 시간이 작은 직사각형을 쳐다본 시간보다 약 2배 길었다.
이 같은 사실은 아기들이 태어날 때부터 음절의 수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자신이 들었던 음절의 수를 적은 수에서부터 많은 수로 전개해나갈 수 있으며, 또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개해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7일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At Birth, Humans Associate “Few” with Left and “Many” with Right’ 이다. 돌로레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학계 궁금증이 해결됐다.”고 말했다.
특히 사람이 태어나면서 숫자를 왼쪽부터 배열해나가는지, 아니면 오른쪽부터 배열해나가는지를 놓고 이견이 있었지만 신생아 때부터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배열해나가는 본능적인 습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교수는 “이번 연구 과정에서 많은 부모들이 태어난 지 45시간이 안된 아기들의 수에 대한 인식능력을 보고 크게 놀랐다.”고 말했다. 수적인 개념을 수용하고, 또한 자신이 들은 소리에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로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수적 개념을 공간을 통해 규칙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교수는 그러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를 배열해나가는 이런 능력이 어디서 온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이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는 이 능력이 자연질서에 의한 보편적인 결과인지, 아니면 진화의 결과인지, 아니면 또 다른 문화적 영향에 의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진행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 켄트 주립대의 심리학자인 클라싸 톰슨(Classa Tompson) 교수는 “그동안 공간을 이용한 수적 개념의 배열 능력이 어떤 것인지, 또 본능적인 것인지 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돼 왔다.”고 말했다.
수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는 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며, 돌로레스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높이 평가했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인간의 수적 이해능력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되기를 기대했다.
(589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