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 분야 대규모 국책사업인 ‘한국형 중이온 가속기'(라온·RAON) 구축이 가시화하고 있다.
라온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시설로 이명박 정부 때부터 추진돼 왔지만, 선정 입지를 두고 논란에 휘말리면서 기본계획보다 5년이나 늦춰졌다.
과학자들은 라온 프로젝트가 로드맵대로 원할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과학이 정치 논리에 좌우돼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 세계 최대 규모의 선형가속기, 라온
라온은 양성자에서 우라늄까지 다양한 중이온을 가속·충돌, 물질 구조를 변화시켜 ‘희귀 동위원소'(RI·Rare Isotope)를 생성하고, 이를 첨단 기초과학연구에 활용하는 연구시설이다.
크게 저에너지가속기·초전도선형가속기 등으로 구성된 가속장치, 표적시스템·동위원소 분리장치 등 IF 시스템(비행파쇄 장치), 사이클로트론·동위원소 분리장치 등 ISOL 시스템(온라인 동위원소 분리장치), 활용연구시설 등으로 나뉜다.
특히 입자 가속을 위해 세계 최초로 ISOL과 IF 방식을 동시에 사용, 새로운 희귀 동위원소를 발견할 가능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ISOL은 가벼운 이온을 두꺼운 표적에 충돌시켜 희귀 동위원소를 생성하는 방식이고, IF는 반대로 가벼운 표적에 무거운 중이온 빔을 충돌시키는 원리다.
가속기에서 만든 최고 1만여종의 희귀 동위원소를 이용해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의 기원을 밝히고 우주나 별의 진화 등과 같은 기초연구를 할 수 있다.
이밖에 신소재 개발, 차세대 방사선 치료법 개발, 핵폐기물 재처리 연구, 방사선 육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활용 가능하다.
◇ 신동지구에 터파기 들어가…2021년 완공 예정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에 따르면 지난 2월 신동지구에서 라온에 대한 우선 시공분 터파기 공사에 들어갔다.
2021년까지 총사업비 1조4천298억원을 들여 신동지구 95만2천㎡에 건물면적 13만100여㎡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사업단은 오는 6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전체 부지를 넘겨 받아 8월 중에는 착공과 시운전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7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지캠퍼스 내에 가속기 부품 검증 시설인 ‘초전도고주파(SRF) 시험시설’을 구축해 초전도가속관, 저온유지모듈 등 주요 시제품 제작과 시험을 성공적으로 끝냈다.
지난해 말에는 라온의 3단계 가속 구간 중 첫 단계인 RFQ 선형가속기에서 빔을 인출하는 데 성공했다.
사업단은 올해 시제품에 대한 성능 검증을 끝내고 하반기부터는 본 제품 발주에 들어갈 계획이다.
◇ 입지 논란에 휘말리며 사업 미뤄져…우려 여전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충청권 공약으로 추진돼 2009년 과학벨트 종합계획에 포함됐다.
하지만 입지 선정을 두고 정치적으로 논란이 일면서 당초에는 올해 완공 계획이었던 사업이 5년이나 미뤄졌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터파기 공사에 들어갔지만, 정상 추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정순찬 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도 지난 18일 기자간담회에서 “(사업이) 또 어떤 바람을 맞을 지 모르겠다”며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대규모의 국가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보니 노벨상 수상자 배출 등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도 있다.
권영관 사업단 장치구축사업부장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가 운영하는 중이온가속기 소재 사이타마현 주민들은 가속기가 자신의 고향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부심을 느낀다”며 “가속기를 당장 산업에 활용하기 보다는 기초과학 연구의 저변을 넓힐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부장은 이어 “라온이 대전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 잡아 해외 유수 과학자들이 널리 찾는 시설로 우뚝 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152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