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바다 이야기] 좋아하는 먹이 골라 먹는다
심해는 잠수정과 같은 특수한 장비가 없으면 들여다볼 엄두도 못 낼 신비한 곳이다. 심해에는 듣도 보도 못한 기괴한 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모습 뿐만 아니라 행동 역시 신기하기만 하다. 그러나 심해탐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심해에 살고 있는 생물의 신비가 하나씩 밝혀지고 있다.
자기 몸무게의 6배 먹이 잡아먹어
영국국립해양학센터(NOC, National Oceanography Center)의 과학자들이 수심 3000m가 넘는 심해에 사는 말미잘도 자기가 좋아하는 먹이를 골라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7월 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저속도사진촬영(time-lapse photography) 기법을 사용해 대서양 북동부에 위치한 포큐파인 심해평원(Porcupine Abyssal Plain)에서 모두 18마리의 심해말미잘 이오삭티스(Iosactis vagabunda)가 먹이를 잡거나 구멍을 파는 모습을 관찰했다. 20개월 동안 8시간 마다 사진을 찍어서 관찰했으며, 그 가운데 한 개체는 20분 간격으로 2주 이상 관찰했다. 이오삭티스는 심해 밑바닥에 살면서 자기 몸무게의 6배까지 먹이인 갯지렁이를 잡아먹는 등 게걸스럽게 폭식했다. 이렇게 많은 먹이를 먹은 심해말미잘은 소화하는 데만 80시간 이상을 소비하기도 한다.
심해저에 구멍을 파면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모습도 관찰했다. 이전에도 이와 같은 심해말미잘의 행동에 대한 관찰 결과가 있었다. 독일 해양생물학자가 포큐파인 심해평원에서 저속도사진촬영을 통해 여느 말미잘처럼 바닥에 붙어살지 않고 특이하게 이동하는 이오삭티스를 관찰해 1997년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 이로써 이오삭티스라는 심해말미잘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거의 20년 전에 존재가 알려지기는 했지만, 그동안 이 심해말미잘이 무엇을 먹는지, 어떻게 돌아다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었다.
심해말미잘 이오삭티스는 포큐파인 심해평원에 사는 가장 흔한 동물이다. 가로 세로 각각 100m 면적에 약 2400 마리나 있을 정도로 많다. 심해평원에서 볼 수 있는 동물의 절반은 이 말미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심해평원은 다양한 서식지 가운데 지구 표면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넓기 때문에, 이곳에 사는 가장 흔한 심해말미잘의 생태를 알면 전 지구 생태계의 많은 부분을 이해하는 것이 될 것이다.
대부분 심해 말미잘의 경우 물에 떠있는 먹이를 촉수로 걸러먹는 현탁물식자(suspensionn feeder)로 알려져 있으며, 바닥에 구멍을 파고 사는 심해말미잘의 경우 퇴적물 속에 녹아있는 유기물도 섭취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팀은 이오삭티스가 물에 떠있는 유기물입자를 걸러먹기보다는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은 유기물을 먹거나 살아있는 생물을 잡아먹는 두 가지 섭식 행동을 보이는 것을 관찰했다. 특히 먹이동물을 잡아먹는 포식 행동이 이오삭티스가 영양분을 얻는 중요한 방법일 것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생각이다. 먹이동물로는 물에 떠서 사는 부유성 다모류(갯지렁이)가 있다. 대부분 바닥에 붙어 고착생활을 하는 포식자의 경우 먹이가 다가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들은 같은 값이면 크기가 큰 먹이를 선호한다.
심해잠수정 덕에 관찰 가능
심해말미잘을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심해잠수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연구팀은 ‘Autosub 6000’이라는 심해 자율형무인잠수정(AUV;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을 이용했다. 이 잠수정은 영국에서 가장 깊이 들어갈 수 있는 심해 AUV로 최대 수심 6000m까지 잠항할 수 있고, 최대 1000㎞를 항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해양과학자들도 자체 개발한 6000m급 심해원격조종무인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 ‘해미래’를 이용해 동해 수심 2000m가 넘는 심해저에서 지난 6월 심해말미잘이 구르면서 이동하는 동영상을 촬영한 바 있다.
영국 해양과학자들이 탐사한 포큐파인 심해평원은 지난 25년 이상 지속적으로 심해생태계 모니터링을 해왔기 때문에 심해생태계가 다른 어떤 곳보다 잘 알려있는 곳이다. 영국 서쪽 대서양에 위치해 있으며, 육지로부터 약 500㎞ 떨어져 있는 공해로 수심은 4000~5000m가 된다. 평원의 넓이는 유럽 대륙의 절반 정도이다.
심해 탐사를 하려면 탐사 비용이 많이 들게 마련이다. 영국의 자연환경연구위원회 (NERC: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Council)에서 비용을 지원하는 심해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탐사가 수행되었다. 탐사의 목적은 심해저에 살고 있는 동물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해 심해 생태계에 이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포큐파인 심해평원전체 생태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육상 뿐만 아니라 이제 수천 길 바다 속도 오리무중이 아니다.
(432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임현식 동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팀이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이 응축하는 현상을 통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고령층은 물론 중장년층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는 대표적 희소 난치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림프암의 치료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희영·임희종 박사 공동 연구팀이 면역체계 오작동으로 염증이 유발되고 정상조직이 공격당하는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신약 물질인 'KIC-0101'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에서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은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만들었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돼 빠져나가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이 소자는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게 된다.
인공조명에 따른 빛 공해로 밤하늘이 밝아지면서 인간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지구과학연구소(GFZ)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각지의 시민 과학자들이 제출한 별 관측 자료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빠르게 줄고있다는 점을 밝혀낸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약 2억5천만년 전 꽃가루 화석에서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 확인됐다. 이는 식물이 유해한 자외선(UV-B)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페름기 말 대멸종 때 유해 자외선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