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개 부처가 함께 사용”…연구비 통합관리시스템 개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범부처 연구비 통합관리시스템(GAIA)의 출범을 기념해 6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통식을 열었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9일
-
한국 주도 보안 관련 표준 4건,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8월 27일부터 9월 5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SG17(Study Group 17)' 국제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한 지능형 자동차 보안·양자암호통신·스마트그리드 권고안 등 4건이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됐다고 6일 밝혔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9일
-
KAIST, 일본 수출규제 관련 특허기술 기업에 적극 이전
우리나라를 백색 국가(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한 일본 조처에 맞서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특허기술의 기업 이전이 추진된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5일
-
“박사급연구원이 국가 연구력의 허리…정책 지원 필요”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박사급연구원에게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5일
-
바이오헬스 R&D 내년 예산 16% 증액…빅데이터 구축 착수
정부가 내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16% 증액하고, 100만명 규모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에 착수한다. 임상 진료 데이터를 R&D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중심병원 5개도 지정할 예정이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5일
-
드론택시 등 개인비행체 개발 위한 민관 협의체 구축
조종사 없이 하늘을 나는 드론 택시, 하늘에서 배달하는 드론 택배 등 신개념 항공교통수단으로 활용될 미래형 개인비행체(PAV) 개발을 위한 민관 협의체가 만들어진다.
- 연합뉴스 2019년 09월 04일
-
‘日 수출규제 대응’ 핵심품목 R&D에 3년간 5조원 이상 투입
일본의 수출 규제와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 제외 조치에 대응해,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R&D)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산업 소재 100개 이상을 '핵심품목'으로 지정하고, 이들 품목 R&D에 내년부터 2022년까지 5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핵심품목 관리를 총괄하는 민관 합동 조직을 신설하고, 필요한 연구를 긴급히 수행할 수 있는 연구실도 지정한다.
- 연합뉴스 2019년 08월 29일
-
과기부, 소재·부품·장비 분야 R&D 연수자 모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7일부터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 사업'에 참여할 이공계 석사·박사 8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2019년 08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