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대한민국창조축전에는 이색 동아리도 있다. 학생들이 직접 체험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행사 참가자들에게 설명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아리마다 특색 있는 체험이 준비되어 있어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예약이 마감되는 경우도 부지기수이다.

대전 대신고등학교의 수학동이리인 '프라임'은 올해 처음 운영된 동아리이다. 수학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목적인 동아리인데, 김기영 학생(2학년)은 "이론서를 통해 공식을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체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기영 학생은 "체험에 사용하는 '적분'이라는 공식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체험을 구성하고 이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힘들었다"면서 "하지만 어려운 공식 끝에 팽이를 돌리는데 성공했을 때는 그만큼 재미있고 뿌듯했다"고 말했다.

광동고등학교의 '크리베이션'(creavation)은 폐마우스와 CD-ROM Odd를 이용하여 선풍기를 만드는 체험과 로봇을 이용한 체험을 준비했다. 박경준 학생(3학년)은 "여러 재료 중 폐마우스를 선택한 이유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저렴하다는 점도 있었지만, 재활용을 통해 환경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라고 말했다.
박경준 학생은 "체험에 사용될 재료 준비부터 로봇의 프로그래밍까지 학생들이 전부 주도했기 때문에 어려운 점도 있었다"면서 "하지만 STEAM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기술적인 부분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담당 교사인 이원희씨(물리)는 "STEAM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만들고 그것에 대한 결과물을 보는 과정을 즐거워했다"면서 "동아리 활동이 지역사회 봉사와도 연계되면서 아이들이 교사에게 배운 것을 응용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그것을 나눌 수 있도록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 영생고등학교의 과학 동아리인 '물둥구리'는 전반사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보는 체험을 준비했다. 명민수 학생(1학년)은 "숙소를 잡아 동아리원들과 과학이야기를 하며 준비하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프로그램을 스스로 짜고 체험 준비하는 과정이 어려웠지만, 그만큼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물둥구리'는 일반 과학동아리와는 조금 다르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안중선 학생(부기장)은 "일반적으로 과학 동아리는 실험을 하고 느낀 점을 적지만, '물둥구리'의 경우에는 1년 동안 각자 주제를 맡고 이에 대한 연구를 자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10월이나 11월쯤 1년 동안 자신이 연구한 결과물을 발표하고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배영훈 학생(2학년)은 "전주에 있는 전북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지원해서 참여하기도 한다"면서 "프로젝트 선정이 되면 지원을 받아 1년간 진행하게 되는데, 동아리 활동을 통해 진행하는 개인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프로젝트 경험도 쌓고 있다"고 말했다.
원주고등학교 로봇동아리가 내놓은 로봇은 특별했다. 모양은 다소 투박하다. 하지만 학생들이 직접 알루미늄 판을 자르고 갈고 절곡해서 만든 로봇이다. 박성배 학생(2학년)은 "만들어진 키트를 가지고 조립한 것이 아니라 직접 만들고 프로그래밍까지 했기 때문에 다른데서 구할 수 없는 우리만의 로봇이라는 자부심이 있다"고 말했다.
과학중점학교인 원주고등학교에서는 이과반과 과학중점반이 따로 나누어져있다. 교사 양아름씨(물리)는 "과학중점반 학생들이 동아리 활동도 열심히 하고, 학교도 학생들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면서 "매주 과학 연구 활동을 위해 수업 시간이 2시간 정도 포함되어 있어 아이들이 이 시간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논문을 쓰기도 한다"고 말했다.
박성배 학생은 "나중에 로봇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모인 동아리인데,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LED 제어와 같은 프로그램을 직접 짜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는 도움을 받거나 토의를 통해 해답을 찾아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동아리 체험활동을 준비한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힘들었지만 완성하고 나서 뿌듯했다"라는 이야기를 했다. 체험을 준비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학생들은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 그리고 그런 학생들의 수고에 보답하듯 많은 행사 참가자가 동아리 체험 활동에 큰 관심을 보였다.
- 이슬기 객원기자
- justice0527@hanmail.net
- 저작권자 2015-07-3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