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중소·중견기업에 해당 기업의 핵심 기술역량이나 제품 등과 연관된 맞춤형 국가연구개발(R&D) 정보가 제공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1일 이석준 1차관 주재로 '2015년 제1회 국가연구개발정보 관리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사업 추진계획'을 심의·확정했다.
NTIS는 R&D 사업과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논문·특허 등) 등 국가R&D 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데 모아놓은 지식포털(www.ntis.go.kr)이다.
R&D 성과물에 관심이 큰 기업체나 대학·연구소 등 연구자들이 이들 정보의 주요 수요자다.
미래부는 창조경제의 핵심 주체인 중소·중견기업을 더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각 기업의 주력기술·제품, 연구 분야 등 관심 정보를 기반으로 NTIS의 연구과제, 성과, 연구자 등에 대한 정보를 패키지 형태로 맞춤 제공하기로 했다.
또 중소·중견기업이 원하면 정보분석 전문가나 민간 컨설팅기업과 연계해 국가R&D 정보를 맞춤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중소기업 관계자가 NTIS의 다양한 기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기획에 직접 참여하는 기회도 만들기로 했다.
NTIS가 보유한 국가R&D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B)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연결데이터(LOD·공공기관의 공개된 데이터를 서로 연결시켜 관련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만드는 시범서비스도 추진된다.
부처·기관별로 이뤄지던 국가R&D 사업의 공고 확인과 신청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범부처 과제신청 원스톱 서비스'의 대상기관이 종전 3곳에서 한국연구재단 등 8곳이 추가돼 11곳으로 늘어난다.
국가R&D 사업의 평가이력 정보와 참여 제한, 환수금 미납 등 제재 조치 정보도 모든 부처가 공동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로 했다.
과제 참여자와 평가자의 책임성·투명성도 높이고 제재 정보를 바탕으로 불성실한 연구자에게 다시 지원이 이뤄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처·기관마다 제각각인 연구 수행·관리 서식(R&D 서식)도 표준화·간소화하기로 했다. R&D 사업을 추진하는 부처·기관마다 서식이 다르고 요구하는 서류도 달라 연구자들의 행정 부담이 컸던 것을 줄여주자는 취지다.
이에 따라 부처별로 26∼84개에 달하는 각종 기본서식이 앞으로는 7종의 표준서식으로 통일된다. 첨부서류도 8∼58개에 달하는 것을 9종으로 표준화하기로 했다.
표준서식은 올해 하반기 시범적용을 거쳐 내년부터 국가R&D 사업 전반에 적용된다.
이석준 차관은 "창조경제를 성공으로 이끌려면 과학기술의 뿌리인 R&D 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해야 한다"며 "끊임없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 NTIS가 R&D의 혁신과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견인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5-06-1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