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첨단 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이나 러시아 같은 강대국들도 주변 국가들이 가진 재래식 무기에 대해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 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社가 개발하고 있는 요격 미사일이 바로 그런 경우다.
요격 미사일의 이름인 MHTK에는 ‘초소형 직접타격(Miniature Hit to Kill)’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관련 기사 링크)
록히트마틴社는 최근 들어 미사일 사격장에서 실시한 테스트에서 MHTK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요격 미사일 외에도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같은 다양한 미사일들을 날려 보낼 수 있는 ‘다목적 미사일 발사대(MML)’에 MHTK를 실어 보낸 것이다.
록히드마틴社의 관계자는 첫 시험 발사에 대해 “MHTK가 한꺼번에 많이 발사할 수 있는 시설인 다중 발사대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라고 전하며 “특히 이번 테스트를 통해 MHTK의 민첩성과 공기역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평가했다.
재래식 무기 요격용 미사일 개발에도 심혈
이 관계자는 MHTK가 적의 로켓이나 야포탄, 또는 박격포탄으로 부터 아군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됐다고 소개하면서 “최전방 보병들에게 가장 큰 인명피해를 불러 일으키는 무기는 스마트 포탄 같은 첨단 무기가 아니라 박격포 같은 재래식 무기들인데, 이런 피해를 막기위해 개발중인 요격 미사일이 바로 MHTK”라고 설명했다.
록히드마틴社에 요격 미사일 개발을 의뢰한 미 육군의 MHTK 성능 검증서를 살펴보면, 1대 또는 2대의 발사대를 이용하여 사정거리 내의 넓은 지역을 방어할 수 있으며 날아오는 적 탄체를 탐지하여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 요격할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격 방식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는데, 표적에 접근한 상태에서 탄두가 폭발하며 파편으로 타격하는 방식이 아니라 마하의 속도로 직접 충돌하여 순수한 운동에너지만으로 표적을 파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도 MHTK는 비행 중에도 레이더로 표적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경로 변경을 해 가면서 표적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탄두 없이 운동에너지만으로 적의 로켓탄 타격
무기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MHTK이 이스라엘의 요격 미사일 시스템인 아이언돔(Irondome)과 모양이나 시스템이 많이 흡사하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무기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아어언돔을 개발했을 당시 미국과 합작을 했기 때문에, 당시 확보된 기술이 미 육군에 전해지면서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이언돔은 재래식 무기를 요격하는 시스템으로는 거의 신화적인 명성을 갖고 있는 존재다. 지금까지 수많은 로켓탄을 요격하면서 90% 이상의 요격 성공률을 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 육군도 이 같은 아이언돔의 성공 신화를 모방하여 MHTK를 개발했을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아이언돔과 MHTK는 모양부터 작동방법까지 여러모로 흡사한 점이 많다. 차이점이라면 미사일의 크기인데, 아이언돔에 사용되는 미사일이 길이 3m에 무게 90kg인 반면에 MHTK는 길이 72cm에 무게도 2.2kg에 불과하다.
이처럼 초소형의 요격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미 육군의 관계자는 “로켓탄이나 박격포 같은 재래식 무기를 공격하는데 있어 덩치가 크고 가격이 비싼 첨단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낭비이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 관계자의 말대로 MHTK는 기존 요격 미사일들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고 사거리도 3Km 정도로 많이 짧지만, 정교한 점에 있어서 만큼은 경쟁 요격 미사일들을 압도한다. 정확하기만 하다면 적의 로켓탄이 아군 기지에 가까이 왔을 때 요격해도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탄두도 장착되지 않은 미사일을 어째서 요격 용도로 사용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기도 한다. 그러나 록히드마틴社의 입장은 분명하다. 탄두가 없기 때문에 미사일이 불발되어도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과 작은 크기 덕분에 위장이나 은닉이 쉬워서 도심 지역에 배치하기 쉽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 김준래 객원기자
- stimes@naver.com
- 저작권자 2018-03-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