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가 연구개발(R&D)에 사용한 예산이 17조6천39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33개 부·처·청·위원회가 지난해 집행한 연구개발 예산은 605개 사업, 5만3천493개 세부과제에 걸쳐 총 17조6천395억원이었다.
이는 2013년도 16조9천139억원보다 4.3% 증가한 것이다.
작년 연구개발 예산은 당초 17조7천793억원이 배정됐지만 최종조사 결과 1천398억원은 미집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부처별로 집행한 연구개발 예산을 보면 미래부가 6조원, 산업부 3조2천억원, 방사청 2조3천억원, 교육부 1조6천억원, 중기청 9천억원 등으로 5개 부처가 14조원(79.4%)을 사용했다.
과제당 연구비는 3억3천만원으로 전년보다 0.8%(300만원) 감소했다.
연구 수행주체별 지원 규모를 보면 출연연구기관 7조5천억원(42.6%), 대학 4조1천억원(23.3%), 중소기업 2조4천억원(13.7%), 국공립연구소 9천억원(5%), 대기업 7천억원(3.9%), 중견기업 5천억원(3.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는 전년보다 2천200억원 이상이 늘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0.7%포인트 올라갔다.
연구개발 단계별 투자현황을 보면 개발연구가 5조1천억원(41.5%)으로 가장 많았고 기초연구는 4조5천억원(36.3%), 응용연구는 2조7천억원(22.3%)이었다.
기초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9.2%에서 2014년 36.3%까지 늘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역별 투자현황은 수도권이 6조8천억원(40.2%), 연구기관이 모여 있는 대전이 5조원(29.5%), 지방이 5조1천억원(30.3%)이었다. 지방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도 전년대비 1.8%포인트 높아졌다.
정부 연구개발에 참여한 연구책임자수는 전년보다 5.6%(1천650명) 증가한 3만2천881명으로 남성(2만8천564명·86.9%)이 여성(4천317명·13.1%)보다 6.6배 많았다.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는 전년보다 500만원 증가한 4억2천600만원, 40세 이하 신진연구자당 연구비는 2천500만원 늘어난 1억4천800만원으로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의 34.5% 수준이었다.
미래부는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결과'를 보고했으며 향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등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5-07-0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