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체가 정지궤도용 위성과 저궤도용 위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표준형 위성탑재 컴퓨터와 위성자세 감지센서인 광학형 자이로를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5일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은 AP우주항공㈜과 ㈜파이버프로가 각각 표준형 위성탑재 컴퓨터와 위성자세 감지센서인 광학형 자이로의 국산화에 성공, 지상모의환경시험(QM)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장비들은 2017년 발사를 위해 '표준·모듈·소형화'된 100㎏급 위성으로 개발중인 차세대 소형위성에 실려 우주환경 검증을 받게 된다.
이 컴퓨터는 LEON 프로세서를 이용해 처리속도를 3배 이상 향상시켰고 컴퓨터 내 구성 모듈 간의 통신 방식 및 위성 내 다른 장치와의 통신 방식을 표준화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신규 위성을 개발할 때마다 탑재컴퓨터를 새로 개발하지 않고 필요한 기능 모듈을 조합해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탑재컴퓨터를 제작할 수 있어 개발 기간 단축과 개발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광학형 자이로는 위성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 자세제어 및 항법에 필수적인 장치이다. 인공위성에도 카메라로 지상을 관측할 때 정밀한 자세 제어가 필요해 자이로가 꼭 필요하다.
이번에 개발된 광학형 자이로는 우주 방사선 환경에 적합한 광섬유 900m를 지름 6㎝ 고리형태로 감아 만든 간섭계로 위성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는 장치로 6개월에 1바퀴 정도로 느리게 회전하는 운동(0.1deg/hr급)도 감지할 수 있다.
㈜파이버프로 이봉완 이사는 "자이로는 군사적 용도의 활용 가능성 때문에 국제적으로 수출입이 엄격히 관리되고 있어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가 필요한 분야"라며 "자이로 성능을 높이고 다양한 목적의 위성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5-02-1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