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물성과학연구부 이주한 박사 연구팀과 충남대 이영석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이산화타이타늄(TiO₂)을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산화타이타늄은 빛을 받아 화학반응을 돕는 대표적인 광촉매로,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이산화타이타늄을 나노튜브 구조체로 제작한 뒤 황을 도핑하는 방법으로 화학반응을 극대화해 기존 이산화타이타늄 재료보다 효율을 두 배 이상 높인 광촉매를 개발했다.
특히 기존 연구는 오염물의 분해 실험까지만 수행했지만, 연구팀은 오염된 물을 정화한 뒤 그 물이 실제 살아있는 세포에 안전한지를 검사해 친환경적임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Nature-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지난 23일자로 실렸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4-10-2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