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일자리를 26만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핵심인재 양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지원과 제도개선 등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12일 열린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창출방안'을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연구산업 1만2천개, 실험실 일자리 1만개, 무인이동체 2만7천900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2020년까지 과학기술·ICT 분야에서 20만명 이상의 고급인재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에 미래직업예측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개방형 플랫폼 확산 등으로 타 분야에 비해 과학기술·ICT분야의 일자리 창출여력이 높다고 판단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R&D)투자, 인적자원, 튼튼한 제조업 기반 등 혁신성장 잠재력을 국내 일자리 창출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7-12-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