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제공
2017-08-01

"디지털 기기 스크린, 수면장애 유발" 청색광이 멜라토닌 분비 감소시켜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디지털 기기 스크린에서 나오는 청색광(blue light)이 수면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휴스턴대학 안경광학대학(College of Optometry)의 리자 오스트린 박사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에서 나오는 청색광이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감소시켜 수면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31일 보도했다.

멜라토닌은 뇌 깊숙이 위치한 송과선(松果腺)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눈의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에 따라 분비량이 늘어나거나 줄면서 생체시계가 조절된다.

날이 밝아 빛의 양이 증가하면 분비량이 줄어들고 어두워지면 늘어남으로써 낮과 밤의 리듬을 조절한다. 밤에 잠이 들면 3~5시간 후 멜라토닌 분비량이 최고조에 이르며 낮에는 거의 분비되지 않는다.

오스트린 박사는 남녀 22명(17~42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 결과 야간의 멜라토닌 분비량이 58% 증가했다.

이는 수면보조제로 사용되는 멜라토닌 보충제를 복용했을 때보다 더 많이 늘어난 수치라고 오스트린 박사는 설명했다.

실험참가자들은 또 평소보다 빨리 잠이 들었고 수면의 질도 개선됐다.

이밖에 수면시간도 24분 늘어났다.

청색광이 가장 많이 방출되는 곳은 햇빛이지만 LED 기기에서도 나온다. 청색광은 각성(alertness)을 촉진시킨다.

망막의 광수용체인 내인성 광수용 신경절세포(intrinsically photosensitive retinal ganglion cell)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다. 이 세포가 활성화되면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된다.

따라서 밤에는 디지털 기기 사용을 되도록 삼가고 사용할 때는 스크린에 필터를 끼우거나 청색광을 차단하는 안경을 쓰도록 오스트린 박사는 권했다.

멜라토닌 분비는 나이가 들면서 점점 줄어든다. 멜라토닌 분비가 아주 적거나 전혀 없는 노인들도 있다.

낮이 짧은 겨울에는 낮에 평소보다 일찍 또는 늦게 멜라토닌이 분비된다. 이 때문에 '겨울 우울증'이라고 불리는 계절성 정서장애(SAD: seasonal affective disorder)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결과는 '안과학-생리광학'(Ophthalmic & Physiological Opt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사본 -ks3206
연합뉴스 제공
저작권자 2017-08-01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